본문 바로가기

주관적 이슈

노란딱지와 유튜브의 위기



언제부턴가 우리 어린 꿈나무들의 꿈에 유튜버가 등장했다.

전문직인듯 전문직아닌 전문직같은 유튜버 

유튜버로써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절대 어른들이 뭐라 할것은 아닌 것 같다.

그리고 물질만능주의가 아직 우리나라에는 상당히 판을 치는 만큼

웬만한 전문직종사자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익을 얻는 유튜버는 이제는 꿈의 직업이 되어버렸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유튜버도 이제 끝물이다. 위기가 찾아온다. 등등의 말이 심심찮게 들려오고 있다.

과연 무엇이 문제이길래 이런 말이 나올까?

그래서 오늘은 유튜버의 위기에 관해 핵심만 알아보도록 하겠다.


1. 1인 미디어의 운영 프로세스 문제




어찌보면 언젠가는 닥칠 문제였는지도 모른다.

1인 미디어가 거대 기업을 이길 방도는 없다. 

물론 방송사를 끼고 하는 유튜버는 제외가 되겠지만 1인 미디어로 방송을 시작한 크리에이터는 체계적으로 운영되는 기업과 달리 개인이 많은 의사결정을 직접 할 수 밖에 없다. 

유튜브의 채널 규모가 커지면서 보는 눈은 점점 많아지고 영향력은 그만큼 늘어만 간다.

그럴수록  신경써야 할 부분이 너무 많아진 것이다.

예전에는 단순히 개인 표현 공간이었다면 지금은 하나의 미디어가 되고 유튜버는 공인으로써 자리잡은 모양세다.

이에 따라 팬들의 요구도 많아지게 된 것이다.

최근 밴쯔, 슈기 등의 거대 유튜버들의 추락을 보면 무슨 의미인지 알 것이라고 생각된다.


2. 결코 쉽게 돈 버는 직업이 아니다.




날이 갈수록 성장하고 있는 유튜브 속에서 유튜버들의 경쟁 또한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유투브의 특성 상 꾸준하지 않으면 그 만큼 구독자들과 멀어질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이다 보니 수년간 쉬지 않고 꾸준히 영상을 올리는 것은 유튜버들에게 심리적, 육체적으로 엄청난 부담감을 주고 있다.

또한 레드오션으로 접어들고 있는 유튜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더욱 더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콘텐츠를 만들게 된다.

이러다보면 자연스럽게 콘텐츠의 질은 떨어지게 되고 구독자들과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3. 노란 딱지의 증가




최근에 유튜버들 사이에서 수익 창출 중단이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노란 딱지로 불리는 광고 제한 또는 배제 아이콘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유튜브의 인기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면서 유튜브 자체에서도 질을 높이기 위한 작업을 열심히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노란 딱지가 붙는 경우는

폭력, 차별, 자살, 약물, 성적인 묘사 등 사회적 상식에 반하는 콘텐츠를 반복해서 게재할 때 붙게 된다.




4. 유튜버들의 탈세




유튜브는 국세청에 직접 소득 신고를 하지 않는다. 

그래서 유튜버가 직접 5월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한다.

근데 이 과정에서 작년 1년 여간 탈세를 한 유명 유튜버 7명이 적발되었다. 총 45억의 소득 탈세로 1인당 6억 4000만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어떻게 탈세가 가능했던 것일까??

유튜버들은 싱가포르에 있는 구글 아시아 지사에서 외환으로 애드센스를 송금 받는다.

여기서 애드센스란 구글에서 운영하는 광고 프로그램으로 웹사이트를 소유한 사람이 애드센스에 가입하면 구글에서 광고비를 지불하고 광고를 자동으로 그 사람의 웹사이트에 올려주는 것을 말한다. 유튜버들의 수입은 이 애드센스로부터 온다고 볼 수 있다.

해외에 있는 업체가 외화로 돈을 입금하는 방식이다 보니 과세 당국이 알기 어렵다는 점을 노린 것이다.

송금 받는 명의가 제 3자일 경우 소득 파악이나 추적이 더 어렵다. 

이렇듯 탈세 문제까지 불거진 유튜버들때문에 세금적인 문제는 날이 갈수록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오토케 초미니 유튜버 브이로그 세트 스마트폰 촬영 방송 홀더 마이크 삼각대 AC-CAM20 개인방송장비 VLOG 유튜브 아프리카TV 여행 야외 야방 YOUTUBE 동영상 셀카봉

초미니 유튜버 브이로스 세트 최저가 보러가기


최근에 백종원 대표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수익을 내기 위해 유튜브를 하는 것은 바보라고 생각한다. 유튜브도 게임처럼 즐겼으면 좋겠다"

이 말이 담는 의미는 엄청 크다고 생각한다.

이제는 단순히 수익 창출을 위한 콘텐츠 생산은 롱런하는 유튜버로써 해답이 될 수 없다.

콘텐츠 크리에이터로써, 브랜드를 이끄는 대표로써, 또한 공인으로써 건강한 콘텐츠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기가 된 것이다.